모바일 헬스케어 
[건강위험요인이 있는 사람에게 모바일 앱(APP)을 통해 보건소 전문가(의사, 간호사, 영양사, 운동전문가)가 언제 어디서나 맞춤형 건강상담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.]
사업안내
예방적 건강관리에 대한 수요 충족을 위해 ICT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공 영역인 보건소에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
법적근거
국민건강증진법 제5조의3(한국건강증진개발원 설립 및 운영) 개발원은 국민건강증진사업의 관리, 기술 지원 및 평가 업무를 수행해야합니다.
사업안내
[1.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]
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

[2.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운영. 기술 지원]
사업 안내 매뉴얼 제작 및 배포
사업안정화를 위한 현장지원 및 모니터링

[3.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]
대상자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모바일 APP 운영
건강, 영양, 신체활동 상담 등 건강정보 제공을 위한 보건소 관리자용 WEB운영

[4. 성과관리]
관리자용 WEB을 통한 실적관리
결과평가를 통한 사업의 효과 검증

[5. 사업참여보건소(전국 180개소)]
서비스 참여를 희망하는 대상자 중 질환을 보유하지 않은 성인이여야 합니다.
(단, 아래 건강위험요인 중 보유하고 있는 위험요인이 많을수록 우선 등록가능)
건강위험요인 및 판정 수치
[○혈압]
-수축기혈압이 130mmHg 이상이면 위험합니다. 고혈압 전단계라 부르며 140mmHg 이상이 되면 질환자 입니다.
-이완기혈압이 85mmHg 이상이면 위헙합니다. 고혈압 전단계라 부르며 90mmHg 이상 이상이 되면 질환자 입니다.

[○공복혈당]
이 100mg/dL 이상이면 위험합니다. 공복혈당 장애, 내당농장애라고 부르며 126mg/dL 이상이상이 되면 질환자 입니다.

[○허리둘레] 
남자는 90cm 이상 위험합니다. 여자는 85cm 이상위험합니다.

[○중성지방]
이 150mg/dL 이상되면 경계역 중성지방혈증이며 200mg/dL 이상이 질환자 입니다.

[○HDL-콜레스테롤] 
남자는 40mg/dL 미만 위험합니다. 여자는 50mg/dL 미만이 위험합니다.
*혈압의 경우 수축기 또는 이완기 수치 중 1개 이상 해당되는 경우 포함